중화민국 유신정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민국 유신정부는 1938년 일본군이 점령한 중국 중부 지역에 친일 괴뢰 정권으로 수립되었다. 량훙즈를 행정원장으로 하여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난징, 상하이를 관할했으나, 실질적인 권한은 일본에 의해 제한되었다. 유신정부는 1940년 왕징웨이 정권에 흡수 통합되었으며, 당초에는 화북의 중화민국 임시정부에 통합될 예정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의 괴뢰정권 - 만주국
만주국은 1931년 일본 제국이 만주사변으로 세운 괴뢰국가로, 푸이를 황제로 옹립했으나 일본 관동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했고, 오족협화와 왕도낙토를 내세웠지만 일본 침략 전쟁의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다 1945년 일본 패망으로 멸망 후 중화인민공화국 영토가 되었다. - 일본 제국의 괴뢰정권 - 왕징웨이 정권
왕징웨이 정권은 일본의 지원으로 왕징웨이가 난징에 수립한 정부로, 중화민국 정통성을 주장했으나 일본의 괴뢰 정권으로 국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붕괴되었으며, 친일 행위로 비판받는다. - 동아시아의 옛 나라 - 몽골 제국
몽골 제국은 1206년 칭기즈 칸에 의해 건국되어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하고 동서 교류를 촉진했으나, 몽케 칸 사후 분열되어 쇠퇴하여 멸망한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차지했던 제국이다. - 동아시아의 옛 나라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은 1931년 중국 공산당이 장시성에 수립한 국가로, 마오쩌둥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하다가 국공 합작으로 중화민국에 흡수되었으며, 중국 공산당은 이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의 토대로 평가한다. - 임시정부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임시정부 -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주축으로 수립된 임시혁명정부로서, 남베트남에 대항하며 "독립, 민주, 평화, 중립"을 표방했으나, 사이공 함락 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되었고, 북베트남의 괴뢰 정부로 평가받는다.
중화민국 유신정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중국어 (간체) | 中华民国维新政府 |
로마자 표기 | Zhōnghuá Mínguó Wéixīn Zhèngfǔ |
일본어 | 中華民國維新政府 (Chūka minkoku Ishin Seifu) |
통칭 | 중화민국 유신 정부 |
공식 명칭 | 중화민국 유신 정부 |
국가 지위 | 미승인 국가 |
지위 설명 | 일본의 괴뢰 정부 |
종주국 | 일본 제국 |
![]() | |
수도 | 난징 |
최대 도시 | 상하이 |
공용어 | 중국어 |
정부 형태 | 독재 정치 |
국가 | 경운가 |
국가 사용 기간 | 1938년–1940년 |
역사 | |
시대 | 중일 전쟁 |
건국 | 1938년 3월 28일 |
멸망 | 재조직 국민 정부에 합병 |
멸망일 | 1940년 3월 30일 |
이전 국가 | 국민 정부 |
이후 국가 | 중화민국 (난징) |
정치 | |
직책 | 행정원장 |
역대 행정원장 | 량훙즈 (1938년–1940년) |
2. 역사
1937년 난징 전투에서 일본군이 승리하고 1938년 중국 국민당군이 후퇴하면서, 일본 대본영은 중난과 중국 남부에 명목상 자치하는 부역 정권 창설을 승인했다. 화베이 지역은 이미 1937년 12월부터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통치하고 있었다.[1]
1938년 3월 28일, 량훙즈(梁鴻志)를 행정원장으로 하는 중화민국 유신정부가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난징, 상하이를 명목상 통치하며 수립되었다.[12] 일본 지나 파견군(支那派遣軍)은 유신정부에 실질적인 권한을 주지 않아 현지 주민들의 불신을 샀고, 제한적인 선전 용도로만 활용되었다.[13]
1940년 3월 30일, 중화민국 유신정부는 왕징웨이가 난징을 수도로 세운 왕징웨이 정권에 중화민국 임시정부와 함께 흡수 통합되었다.[6]
2. 1. 설립 배경
1937년 난징 전투에서 일본군이 승리하고 국민당 군이 후퇴하면서, 일본 대본영은 중국 중부와 중국 남부 점령지에 명목상 자치하는 협력 정권 수립을 승인했다.[1] 화베이 지역은 이미 1937년 12월부터 중화민국 임시정부라는 별도의 괴뢰국이 통치하고 있었다.일본 중지나 방면군은 1938년 양쯔강 하류 지역에 자체적인 괴뢰 정부를 세울 계획을 세웠고, 재정 지원 및 경제적, 정치적 목표를 담은 여러 문서를 작성했다.[1] 이 문서들은 임시 정부와 중부 중국 정부 간의 궁극적인 합병 또한 명시했다. 일본은 정부를 이끌 정치 및 군사 지도자를 물색했고, 처음에는 장제스에 반대했던 전 국민당 지도자 탕사오이를 고려했으나, 그의 요구 조건을 수용할 수 없어 량훙즈와 협상했다.[2] 량훙즈는 일본과 연관된 베이양 정부의 전 안후이 군벌 정치인이었다.
1938년 2월 19일 회의에서 새 정권이 중화민국(베이양 정부)의 옛 국기와 국가를 사용하기로 결정되었고,[2] 1938년 3월 28일 량훙즈 등을 중심으로 중화민국 유신정부가 수립되어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및 난징, 상하이를 통제하게 되었다.[3] 유신정부의 선언문은 국민정부의 실정을 비판하고 일본에 감사를 표하며, 자신들이 중국을 구할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4] 그러나 일본은 유신정부에 실질적인 권한을 주지 않아 현지 주민들의 불신을 샀고, 제한적인 선전 용도로만 활용되었다.[5]
당초 중화민국 유신정부는 화북의 중화민국 임시정부에 흡수 합병될 예정이었다.[8][9] 그러나 1940년 3월 왕징웨이가 충칭을 탈출하여 왕징웨이 정권을 수립하면서, 중화민국 유신정부와 화북의 중화민국 임시정부는 왕징웨이 정권에 합류했다.[9]
2. 2. 중화민국 유신정부의 성립과 통치
난징 전투에서 일본군이 승리하고 1938년 중국 국민당군이 후퇴하면서, 일본 대본영은 화북 지역에 이어 중난과 중국 남부에도 부역 정권 창설을 승인했다. 화베이 지역은 이미 1937년 12월부터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통치하고 있었다.[1]1938년 3월 28일, 량훙즈(梁鴻志)를 행정원장으로 하는 중화민국 유신정부가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및 난징과 상하이 지역을 명목상 통치하며 성립되었다.[3][8][9] 이 정권의 활동은 일본 지나 파견군(支那派遣軍) 고문들에 의해 신중하게 진행되었다.[1] 그러나 일본은 유신정부에 실질적인 권한을 주지 않아 현지 주민들의 불신을 샀고, 제한적인 선전 용도로만 활용되었다.[5]
당초 일본은 중화민국 유신정부를 화북의 임시정부에 흡수 합병할 예정이었다.[8][9] 그러나 1938년 왕징웨이가 충칭을 탈출하고, 1940년 3월에 왕징웨이 정권이 성립되자, 중화민국 유신정부는 중화민국 임시정부와 함께 왕징웨이 정권에 합류했다.[6][9]
2. 3. 왕징웨이 정권으로의 통합
1937년 난징 전투에서 일본 제국이 승리하고 중국 국민당군이 후퇴하자, 일본은 점령지에 괴뢰 정권을 세우기로 결정했다. 이미 화베이 지역에는 1937년 12월부터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있었다.[1]1938년 3월 28일, 량훙즈를 행정원장으로 하는 중화민국 유신정부가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및 난징, 상하이 지역을 통치하며 수립되었다.[12] 그러나 일본 지나 파견군은 유신정부에 실질적인 권한을 주지 않았고, 이는 현지 주민들의 불신을 샀다.[13]
결국 중화민국 유신정부는 1940년 3월 30일 왕징웨이가 난징을 수도로 세운 왕징웨이 정권에 중화민국 임시정부와 함께 흡수 통합되었다.[6]
3. 행정
유신정부는 성(省), 도(道), 현(県)의 3급제를 채택하고, 1938년 5월 28일에 '성 정부 조직 조례'를 발표하여 성 정부를 유신 정부의 명령을 받아 성역을 관할하는 최고 행정 기관으로 정했다. 국민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부담을 증가시키지 않는 한, 유신 정부가 정하는 법령의 범위 내에서 독자적인 입법권을 부여받았다. 같은 해 6월 28일에는 '도 조직 조례'와 '현 조직 조례'가, 8월 8일에는 '보통 시 조직 조례'를 발표하여 난징 및 상하이에 시 정부를 설립했다.
3. 1. 행정 구역
유신정부는 성(省), 도(道), 현(県)의 3급제를 채택했다. 1938년 5월 28일, '성 정부 조직 조례'를 발표하여 성 정부를 유신 정부의 명령을 받아 성역을 관할하는 최고 행정 기관으로 정하고, 국민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부담을 증가시키지 않는 한, 유신 정부가 정하는 법령의 범위 내에서 독자적인 입법권을 부여했다. 또한 같은 해 6월 28일에는 '도 조직 조례', '현 조직 조례'가, 8월 8일에는 '보통 시 조직 조례'를 발표하여 난징 및 상하이에 시 정부를 설립했다.- '''장쑤성''': 1938년 4월 5일에 성 정부 설립 준비를 시작, 4월 9일에 천쩌민을 성장에 임명하고, 5월 23일에 쑤저우에서 성 정부가 정식으로 성립했다.
- '''저장성''': 1938년 5월 17일에 성 정부 설립 준비를 시작, 6월 22일에 항저우에서 성 정부가 정식으로 성립했다. 성장은 왕루이카이.
- '''안후이성''': 1938년 7월 2일에 성 정부 설립 준비를 시작, 10월 28일에 벙부에서 성 정부가 정식으로 성립했다. 성장은 니다오랑.
- '''난징 특별시''': 1938년 4월 1일에 수정부 부장이었던 런위안다오가 난징 시정을 겸임, 24일에 난징 시정 독판 공서가 성립했다. 1939년 3월 2일에 난징 특별시 정부로 개편되었다.
- '''상하이 특별시''': 1938년 4월 1일에 쑤시원이 상하이 시정 독판에 임명되어 상하이 시정 독판 공서가 성립했다. 같은 해 10월 14일에 상하이 특별시 정부로 개편되었다.
3. 2. 주요 인사
임시 집정 비서장총재 겸 외교부장
수도 경찰청 청장
외교총장 대리
후임은 롄위→샤치펑
호법 군정부 재정부장
제20군 부군장
겸 정치부 주임
주일본 대리 대사
대총통부 고문
북벌군 제4군 참모장
내정부 상무 차장
사법 행정부 정무 차장

쉬저우 경비 사령
